IT/Git 2

[Git] 특정 시점으로 돌아가기 (push 잘못했을 때/ push 기록 삭제)

작업을 하다보면 최종 수정본이라고 생각해서 push를 한 뒤, 오류를 발견해 다시 동일한 commit을 보내기 민망할 때가 있습니다. (예: "000 오류 수정"으로 push 했는데 000 오류 수정 사항이 더 있을 때)물론 "진짜 ## 오류 수정"이런 식으로 작업해도 되지만 굳이 기록하지 않아도 되는 history는 지우고 싶은 사람의 심리...그럴 때에는 git reset 명령어를 활용하면 됩니다.git reset 명령어는 로컬 리포지토리의 현재 HEAD를 지정한 커밋으로 이동시키는 데 사용됩니다. reset 명령어는 --hard, --mixed, --soft 세 가지 주요 옵션을 제공하며, 각각의 옵션은 커밋, 인덱스(스테이징 영역), 워킹 디렉토리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집니다.git reset 주요..

IT/Git 2024.09.04

[Git] 기본 명령어 정리

1. 현재 상태 확인working directory, stage의 상태를 확인git status2. 변경 내용 가져오기(pull) ↔ 올리기(push)pull : repository 최근 작업 파일 가져오기git pull origin git pull origin gp_query_job_reviewpush : local 변경 사항 올리기# 1. 파일 스테이징: git addgit add (예: aaa.txt)# + 모든 변경사항 -> .(all)git add .# 2. 커밋 생성 : git commitgit commit -m " (예: Modified: ~)"# 3. 변경 사항 푸시git push origin # ex) git push origin master3. 버전 관리: branchbranch 생성..

IT/Git 2024.09.02